본문 바로가기

나눔을 알기 위한/SR - 기후변화

기후변화 국제동향, 기후변화협약, 교토메커니즘이란

반응형

 기후변화 국제동향, 기후변화협약, 교토메커니즘이란


 

사전 information

 

지구온난화란 대기중에 있는 온실가스가 지표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흡수하여 지구가 더워지는 현상을 말하며

이로 인하여 사막화, 해수면 상승,생태계 변화 등의 부정적 효과가 유발된다.

 

6대 온실가스

이산화탄소 : CO2, : 에너지 사용 및 산업공정에서 발생

메탄 : CH4 : 주로 폐기물, 농업 및 축산에서 발생

아산화질소 : N2O : 산업공정과 비료사용으로 인해 발생

수소불화탄소 : HFCs

과불화탄소 : PFCs

육불화황 : SH6

 

: 수소불화탄소, 과불화탄소, 육불화황 등은 냉매 및 세척용도의 사용으로 배출되며, 자연계에서는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이 합성한 가스이다.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구온난화지수(Global Warming Potential )

CO2 1로 보았을 때,

메탄 : CH4 : 21

아산화질소 : N2O : 310

수소불화탄소 : HFCs : 1300

과불화탄소 : PFCs : 7000

육불화황 : SH6 : 23900

 

 


 

기후변화 국제동향

 

1979 2월 제네바에서 세계기상기구(WMO) 주관으로 제 1차 세계기후회의를 개최하여 기후변화에 관한 조사,

연구를 시작한 이후 온실가스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그 평가에 대한 논의를 진행.

1988 11 : WMO, UNEP 주관하에 IPCC가 설립되어 기후변화의 원인 및 영향 및 대응에 관한 종합적 연구를 수행.

1990 12월 정부간 협상위원회(INC) 가 설립되었고 6차레의 협상을 통해

1992 5월 기후변화협약 안이 확정

1992 6월 브라질 리우정상회의에서 채택.

1995년 제 1차 당사국총회(COP1)에서 선진국의 의무를 강화하기로 하고 1997년까지 구속력을 갖는 법적 장치를

마련하기로 결의하는 ‘Berlin Mandate’를 채택.

1997 12월 제 3차 당사국총회(COP3)에서 선진국의 구속력 있는 양적 감축의무를 명문화한

교토의정서(Kypto Protocal)를 채택

2005 2월 교토의정서 발효

2007 12 : 13차 당사국총회(COP13) : 발리 행동계획

2009 12 : 15차 당사국총회(COP15) : 덴마크 코펜하겐

2010 12 : 16차 당사국총회(COP16) : 멕시코 칸쿤

2011 12 : 17차 당사국총회(COP17) : 남아공 더반

2012 12 : 18차 당사국총회(COP18) : 카타르 : 예정

 

 

 

 

 

 


 

교토메커니즘

시장원리를 바탕으로 하는 온실가스 감축의무 이행의 보조수단으로 청정개발체제, 공동이행, 배출거래가 포함되며,

7차 당사국총회에서 교토메커니즘 운영방식 최종 합의

 

청정개발체제

CDM : Clean Development Mechanism

: 선진국(의무부담국가)이 개도국에 투자하여 얻은 온실가스 감축분을 선진국의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공동이행제도

JI : Joint Implementation

: 선진국 A 가 다른 선진국에 투자하여 얻은 온실가스 감축량의 일정분을 A 국 감축실적으로 인정하는 제도

 

배출권거래제

ET : Emission Trading

: 선진국들이 온실가스 감축의무에 따른 배출쿼터를 국제시장에서 거래할 수 있게 하는 제도.

 

 

[블로그내 가장 많이 읽은 글]

재테크주의점, 재테크실패사례.

대학생재테크방법, 아르바이트돈으로재테크할 수 있는 대학생 재테크방법, 용돈재테크법

10만원재테크, 10만원으로 천만원,일억 큰돈만드는방법

50만원,100만원재테크, 50만원,100만원 여윳돈,여유자금 재테크

돈불리기, 돈불리는방법 알기 위한 필수 정보, 초보재테크돈 불리는방법

재테크비법, 30억부자 탤런트 전원주씨가 말하는 재테크비법, 돈빨리모으는방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