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26000 국제 표준으로 최종 결정.
|
국제표준화기구(ISO)는 지난 7월12일부터 두달 동안 진행된 인터넷 투표에서 77개 회원국 가운데 93%의 지지를 받아 표준안을 확정했다고 9월14일 밝혔습니다. 2000년대 들어 국제사회에서 오랜 논쟁을 낳았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문제를 놓고 처음으로 완성된 국제 표준안입니다.
새 국제표준은 편집 과정을 거쳐 11월에 발간됩니다.
|
ISO 26000의 최종안을 보면, 표준은 크게 7개 부문으로 구성돼 있으며,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 △환경 △공정운영 △소비자 △지역사회다. 대상 분야가 매우 포괄적입니다.
이 가운데 인권 분야를 예로 들어 보면, 크게 8개 하위 항목으로 구성된 인권 분야는 ‘인권 위험 상황, 시민권과 정치권, 차별과 취약집단, 직장에서의 기본권’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직장에서의 기본권’ 분야는 다시 네 가지 세부 항목 ‘결사의 자유, 강제노동 금지, 아동노동 금지, 차별대우 금지’를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다시 ‘차별대우 금지’ 항목을 보면, “기관은 고용 정책이 인종이나 피부색, 젠더, 종교, 민족적 배경, 사회적 배경, 정치적 견해, 나이, 장애로 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확인해야 한다”라고 못박고 있습니다. 또 가족 관계나 개인적 친분 혹은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후천면역결핍증(HIV·AIDS) 감염 여부 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한다는 조항도 들어 있습니다.
* 국제표준 제정 절차 : 신규작업항목 제안(NP) → 국제표준초안(WD) → 위원회안(CD) → 국제표준안(DIS) → 최종국제표준안(FDIS) → 국제표준(ISO)
ㅇ 이에따라 국제표준은 오․탈자 등 편집상의 보완을 거쳐 금년 11월 중 「ISO26000 사회적 책임 가이던스」로 발간 예정입니다.
▶ 사회적 책임 국제표준은 조직 거버넌스, 인권, 노동, 환경, 공정운영, 소비자, 지역사회 등 7개 핵심과제에 대한 실행지침을 규정한 것으로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조직에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첫 국제표준 입니다.
사회적 책임 : 조직이 의사결정이나 활동을 함에 있어서 소속된 사회에 이익이 되도록 해야 하는 책임
* ISO26000의 7개 핵심주제 및 37개 쟁점사항 으로 이루어져 있음.
표준화기구(ISO)는 ‘05년부터 총 8차례의 국제회의를 통해 세계 각 국의 합의를 도출함으로서 UN, OECD 등 국제기구에서 선언한 여러 지침과 달리 사회적 책임 실천 가이드라인으로 국제사회 전반에 큰 영향력이 예상되며 그동안 논란이 되었던 인증추진 반대, 무역장벽 이용방지, 사회의 다양성과 경제상황을 고려한 실행 등이 국제표준에 반영됨으로써 국제사회의 자발적인 참여확대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ISO26000 제정 등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글로벌 트랜드를 국가경쟁력 강화의 기회로 삼아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모든 조직이 지속가능 경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동의 노력이 필요 합니다.
- 산업, 노동, 환경 등 사회를 구성하는 조직은 윤리적 경영, 이해관계자의 의견존중 등 체질개선의 기회로 활용토록 하며
- 장기적인 계획과 단계적인 추진으로 국제표준을 성실히 이행함으로서 조직의 이미지 제고 등 신뢰성확보 방안으로 추진 해야함.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발표 자료 참고.
'나눔을 알기 위한 > ISO - 260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26000 기술보고서 - 1/2 (0) | 2011.06.03 |
---|---|
[ISO26000] 국제 표준화 진행 과정 알아보기.- 상세설명 (0) | 2010.10.04 |
[ISO26000] 7대 이슈 및 세부 이슈 알아보기. (0) | 2010.10.03 |
[ISO26000] 기본 개념 및 영역별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해하기. (0) | 2010.10.02 |
[ISO26000] 제정 배경 및 과정 알아보기. (0) | 201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