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26000 국제 표준화 진행 과정 알아보기. - 상세설명
|
전체적인 진행 현황은 하기 테이블과 같습니다. 하지만 COPOLCO, WG, SAG, TNB 등 모르는 단어들이 수두룩하죠. 그래서 이번 장에서는 하나 하나 설명을 곁들일 예정입니다.
먼저 ISO 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할 필요성이 있답니다.
그래서 ISO 국제 표준화 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한번 쯤 읽어보심이 괜찮을 듯 싶네요.
ISO 의 약자가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입니다 .그러면 약자를 IOS 라고 해야 하는데 왜 ISO 라고 했을까요.. 아래 글을(ISO 국제 표준화 기구 란 무엇인가?) 읽으면 한번쯤 아하.. 그래서 그렇구나라고 이해하실듯도 합니다.
[나눔을 알기 위한/SR - Material] - ISO 개요,역사,조직과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기.
|
이사회에서 SR 국제표준 제정 가능성에 대해 소비자정책위원회(COPOLCO) 가 조사할 것을 결의 ISO/COPOLCO 는 CSR에 대한 워크숍 실시 전략적자문그룹(SAG) 은 18개월간의 작업 끝에 ISO 기술관리부(TMB)에 최종 보고서와 권고안 제출 SR 국제회의 결과를 토대로 기술관리부에서 사회적 책임에 관한 '지침표준(Guidance Standard)'을 개발하기로 결정. ISO TMB 는 ISO 회원기구인 스웨덴표준원(SIS)과 브라질 표준원(ABNT)을 공동 의장국으로 지명하고, 사회적 책임을 신규 작업항목으로 제안했다. 가맹국투표(찬성 32, 반대 4)로 ISO 26000 의 국제규격제정을 위한 제 1차 ISO / SR WG 총회 개최(브라질) 제 2차 ISO/SR WG 총회 개최(방콕) 제 3차 ISO/SR WG 총회 포르투갈 리스본에서 개최 ISO와 UN Global compact 간 MOU 체결 제4차 ISO/SR WG 총회 개최 (호주 시드니) 제5차 SR 총회 (오스트리아 빈) 제 6차 ISO/SR WG 총회 개최 (칠레 산티아고) 제 7차 SR 총회 (캐나다 퀘백) 제 8차 SR 총회 (덴마크 코펜하겐) FIDS (최종국제표준안) 회람 및 투표 ISO 26000 발간 예정
ISO 26000 제정 경위 및 현황
2001년 4월
-> SR : Social Responsibility 의 약자로
SR의 "S"를 Sustainability(지속)이 라는 단어를 쓰기도 합니다.
-> COPOLCO : Committee on Consumer Policy 의 약자로
소비자 정책위원회로 이사회에 속해 있는 조직 입니다.
2002년 6월
: COPOLCO 총회에서 작업반(WG)의 보고서 승인 실현가능성에 대해 지속적인
검토 결의
-> ISO :
-> 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 기업의 사회적 책임
-> WG : Working Group : 작업반 : 개인자격으로 임명된 전문가로 구성
2004년 4월
-> SAG : Strategy Advisory
소비자, 비정부기구(NGO), 를 포함하는 폭넓은 이해당사자 대표들로 구성.
-> TMB : Technical Management Board : ISO의 기술적 업무에 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지며, 기술위원회 작업을 위한 지침개정, 기술위원회 업무에 대한 계획 수립, 조정, 수행 및 감독에 관한 모든 문제를 다룬다.
2004년 6월
2004년 9월
2005년 1월
신규항목제안(NWIP)이 통과.
-> NWIP; New Working Item Proposal
: 새로운 표준을 개발하겠다는 제안서
2005년 3월
-43개국, 24개 국제기관에서 총 260명이 참가
-일반 참석자 225명 중 개도국 참가자가 70명, 선진국 참가자가 155명 정도를 차지하고 있음
-이해관계자 참석의 경우 산업계가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NGO, 정부, 소비자, 노동계 순서임
-> WG : Working Group : 작업반
2005년 9월
- ISO 26000의 목차(합의) 합의
- ISO SR WG 조직 구성 완성(정책그룹, 규격작성그룹)
- 6개 Stakeholder 의 정의 합의
- ISO 26000 의 개발 스케줄 확정
- ISO
기초로 Design Specification 초안을 공동 작성
2006년 5월
-사회적 책임의 ‘7대 핵심 이슈’ 결정
2006년 12월
2007년 1월
-7대 핵심이슈를 규격에 반영할 4개의 특별 작업팀 구성
2007년 11월
2008년 9월
2009년 5월
2010년 5월
-ISO 26000 초안 국제기준 최종안(FDIS)으로 승인.
2010년 6월 - 8월
->FDIS : Final Draft Internation Standard
2010년 12월
이러한 일련의 활동들이 이루어져 2010년 12월에 ISO 26000 국제 표준안이 발간 예정입니다 .
국제표준 제정절차에 따라 간략이 설명하면
ISO 26000표준화 과정
-> 2005년 -08년 : WD (2007년 7월 작업 안 발간 )
-> 2008년 12월 : CD (위원회 안)
-> 2009년 4월 : DIS (국제 표준안) -> 2010년 : FDIS (최종국제표준안)
-> 2010년 : IS (국제 표준)
이러한 순서로 10년에 걸쳐서 ISO 26000 국제 표준이 진행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습니다.
'나눔을 알기 위한 > ISO - 26000'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O26000 개요 , 기업의 사회적책임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1) | 2011.06.05 |
---|---|
ISO26000 기술보고서 - 1/2 (0) | 2011.06.03 |
[ISO26000] 7대 이슈 및 세부 이슈 알아보기. (0) | 2010.10.03 |
[ISO26000] 기본 개념 및 영역별 구성 요소에 대해서 이해하기. (0) | 2010.10.02 |
[ISO26000] 국제 표준으로 최종 결정. (0) | 2010.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