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졸혼 이란, 휴혼 해혼 한자 뜻. 졸혼 장점과 단점 여러분 생각은?

반응형

졸혼 이란, 휴혼 해혼 한자 뜻. 졸혼 장점과 단점 여러분 생각은?

 

 

요즘 심심치 않게 뉴스 지면상에 오르내리는 단어중에 하나가 졸혼이라는 단어입니다.

도대체.. 무슨뜻인지.. 신조어인지.. 알수가 없다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졸업은 들어봤는데.. 졸혼은 처음듣는다. 이런 분들이 많을텐데요.

졸혼 뜻.. 의미는..

 

결혼을 하고 오랜시간동안 부부 관계를 유지한 부부들이

남편의 의무 / 아내의 의무에서 벗어나서 남자/여자로서 남아 있는 삶을 자유롭게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졸혼 뜻

졸혼(卒婚) = 결혼을 졸업했다는 뜻입니다.

 

졸혼은 2004년도에 일본에서 출간된 책인 졸혼을 권함이라는 책에 의해서 사람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지기 시작한거는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졸혼 의미에 대해서 설문조사한 내용이 있는데

 

졸혼에 대한 질문에는 부정보다는 긍정을 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유는 많이 있겠지만

요즘 신문지상에 오르내리는 황혼이혼율.. 황혼이혼에 대해서 접해본 사람들은

다시 한번 생각하지 않았을까요.

 

법적 관계를 끊고 남남인 상태로 살아가기 보다는 휴혼 또는 졸혼으로 부부간의

유대관계를 유지하는게 노년에 가장 좋지 않을까요.

 

 

 

 

 

 

 

 

이혼은 말그대로 법적으로 남남이 되는 것이죠.

졸혼은 법적으로는 남아 있어서도 남편의 또는 와이프의 삶속에 들어가지 않는 생활을 말하는데

같은 집에서 살면서도 졸혼을 즐길수가 있고, 따로 따로 살면서도 졸혼을 즐길수가 있습니다.

 

이혼이나 우리가 흔히 아는 별거와는 다른점중에 하나가.

별거나 이혼을 하면 감정적인 유대감이 끊어지게 되는데.

졸혼은 감정적인 유대관계가 이어져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단절되지 않은 상태 )

 

요즘 졸혼을 많이 선택하는 사람들이

그동안 오랜 시간 동안.. 가정 꾸리랴.. 아이들 키우랴.. 시댁에.. 처갓댁에.

사회생활에 많은 부분을 나 아닌 주위를 위해서 살아온 사람들이 혼자만의 시간,

싱글의 시간, 내가 하고 싶은 취미활동이나 사생활을 즐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부부라는 연을 잠시 내려놓고 나만의 시간을 가지는 것입니다.

 

 

 

 

얼마전 백일섭님이 인생다큐에 출연해서 졸혼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40여년간의 결혼생활을 졸업한 것입니다.

 

졸혼을 어느날 아침에 일어나.. 졸혼해야겠다.. 이렇게 생각하지는 않았겠죠.

오랜 시간동안.. 생각을 하고.. 부인과 얘기를 하고.. 아이들과 얘기를 하고.

이해를 시키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알려주고..

 

많은 준비를 사전에 하지 않았을까요.. 그리고 예행연습도 했을테고..

 

모든건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건 없죠..

 

 

 << 졸혼 장점 >>

 

 

 

 

<< 졸혼 단점 >>

 

 

 

 

 

 

지금까지 졸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그러면 휴혼이란 무엇일까요.

포스팅 내용을 본 분들이라면 어느정도 이해를 하겠지만...

 

휴혼 뜻은

휴혼 = 결혼의 휴가 기간

 

그렇습니다. 졸혼은 남은 기간 죽는날까지 졸혼의 관계가 유지가 되지만

휴혼은 일정기간동안의 졸혼이라고 봐야 합니다.

 

직장인들에게 휴가가 있듯이..

결혼생활에도 휴가 기간이 있는것이죠.

 

휴혼과 졸혼 잘만 활용한다면... 가족사이에 많은 장점을 가져 오지 않을까요..



 

 

해혼(解婚)

졸혼이 일본에서 유래한거라면.. 이와 비슷한 개념의 해혼이라는 제도도 있습니다.

 

해혼 혼인을 풀어준다

è 즐혼이나 휴혼은 부부간에 합의가 있어야 하지만.. 해혼은 인도에서 사회적으로 보장받는 제도랍니다. 남자가 어느 시기 나이게 들게 되면 한 가정의 가장으로서의 의무를 내려놓고 자기가 하려고 했던 하고 싶었던 일을 할 수 있도록 사회적으로 인정해주고 있는 제도랍니다.

 

예를 들어.. 간디(인도) 37살에 해혼식을 치르고 가정을 떠나서 그만의 고행의식을 떠났다고 하네요.

 

이혼은 서로의 이해 차이로 또는 성격 차이로 인해서 법적으로 갈라서는 것을 말한다면

 

해혼은 혼인의 관계를 서로의 합의하에 혼인으로부터 자유로워 지는 개념이니

이혼과는 분명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해혼은 따로 또 같이라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편할 듯 합니다. )

 

서로간에 마음은 유지를 하면서도 각자의 삶을 사는 것인데..

 

어떻게 보면.. 일본의 졸혼이나 인도의 해혼은 같은 유사 개념으로 이해를 해도 될 듯 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건 휴혼, 졸혼, 해혼을 하기전에 많은 시간을 생각하고. 고민하고.. 부부간에..

가족간에 대화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이해간에 이해되지 않는 휴혼, 졸혼, 해혼은 나중에 이혼으로 넘어가게 되지 않을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