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직급 직책 차이, 대기업 인사제도 개편안 호칭은 어떻게

반응형

직급 직책 차이, 대기업 인사제도 개편안 호칭은 어떻게

 

 

 

직급이나.. 직책에 대해서 혼동하는 경우가 많이 있죠.

직장을 다니는 분들이라면.. 필히 숙지해야하는 많은 사항중에 하나입니다.

 

상사를 대할때.. 또는. 고객을 대할 때 등등. 많은 부분에서는 필수라고 할 수 있죠.

 

직급

직급이라함은.

직무의 등급을 말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회사에서는 사원부터 회장까지 있습니다.

사원 -> 주임 -> 계장 -> 대리 -. 과장 -> 실장 -> 차장 -> 부장 -> 이사 -> 상무이사

->전무이사->부사장 -> 사장 -> 부회장 -> 회장 순입니다.

 

è 이사 위로는 임원이라고 합니다. 1년 단위 계약이 이루어지고..

    우스갯소리로 임시직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è 직급 순서에 따라 최소 근무 연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가 보통인데..

    대기업의 경우 근무 연수가 긴데 반해서 중소기업의 경우는

    근무연수가 대기업에 비해서 짧은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직책

직책이라고 말하는 것은 직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그 책임을 말하는 것이며

회사의 직책임 팀원부터 본부장까지를 통상적으로 말합니다.

 

팀원 -> 팀장 -> 실장 -> 본부장 순입니다.

 

IT 나 연구 개발 분야에서는 사원-> 선임 -> 책임 -> 수석 -> 이사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요즘은 연공서열 파괴로.. 직책이나. 직급을 때고.

 

~~~님 이렇게 부르는 대기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올해 3월부터 시행이라는 신조직문화 연공서열 파괴로

~~ 님 호칭  도는 ~~ 프로님 이라는 호칭을 사용한다고 합니다.

즉 대리, 과장, 부장이라는 호칭이 사라지는 거죠.

 

연공서열형 7단계직급체계의 경우 직무 역할 중심의 4단계로 단순화가 됩니다.

 

직급 체계의 경우 업무와 전문성 위주로 개편이 이루어지는데

기존 7단계에서 4단계 경력개발 단계로 바뀌게 되는데

성과가 좋다면 후배가 선배보다도 높은 경력 단계에 위치할수도 있습니다.

 

LG전자

LG전자의 경우

연공서열 기반인 직급보다는 역할 기반인 직책 위주로 조직문화가 바뀌는데

기존 5단계 직급 체계인 사원 -> 대리 -> 과장 -> 차장 ->부장은 유지를 하되.

 

성과에 따라서 누구든지 파트장이나 팀장 또는 리더가 될수도 있습니다.

 

즉 이말은 과장, 차장이라 하더라도 성과를 내게되면 높은 직책을 가질 수 있다는 말이죠.

 

CJ 그룹의 경우는 2000년부터 ~~ 님 호칭을 사용했습니다.

 

카카오의 경우 영어 닉네임으로 직급을 부르고 있습니다.

2002년인 다음커뮤니케이션 시절에는 모든 임직원들의 호칭을 ~~님으로 정하기도 했습니다.

 

SK 텔레콤의 경우 2006년부터 본부장과 실장등의 직책자를 제외하고는

전 직원의 호칭을 매니저로 통일을 했습니다.

 

제일기획의 경우 2010년부터 사장을 포함한 전 임직원의 호칭을 ~~프로님으로 단일화 했습니다.

 

 

 

 

SK하이닉스의 경우 2011년부터

사원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의 5단계 직급 체계를

선임 -> 책임 -> 수석의 직책 중심인 3단계로 단순화 시켰습니다.

 

신세계 그룹은 2015년부터 직급 체계를

기존 6단계에서 사원 -> 대리 -> 과장 -> 차장 -> 부장 -> 수석부장

4단계로 간소화 시켰으며 팀장을 제외하고는 직원의 호칭은 파트너로 통일화 시켰습니다.

 

롯데그룹의 경우는 5단계 직급 체계를 3단계 직급 체계로 단순화 시켰습니다. ( 사원 -> 책임 -> 수석 )

 

삼성화재의 경우는 2012년 금융분야 최초로

수석 -> 책임 -> 선임 직제를 도입하였고

삼성생명의 경우는 2016년부터 5단계 직급을 4단계 직급으로 단순화 하였습니다.

(사원 -> 선임 -> 책임 -> 수석 )

 

삼성 바이오로직스와 삼성 에피스 또한 직급 대신에 프로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KT 그리고 한화그룹의 경우 매니저 제도를 도입하였다가 다시 직급제로 회귀시키기도 하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