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눔을 알기 위한/SR - 지속가능경영

지속적인 시장수익을 얻어야만 기업은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선순환 개념을 가져갑니다 .

반응형

지속적인 시장수익을 얻어야만 기업은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선순환 개념을 가져갑니다 .




지속가능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아마도 지속성장을 위함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지속성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시장 수익을 가져와야 한다는것입니다. 지금까지도 그렇지만, 앞으로도 지속성장 = 시장수익 이라는 공식에 대한 근거가 계속 나와야 기업들이 좀더 지속성장을 위한 지속가능경영을 할 것입니다.

[신문기사] 

21세기 메가트렌드는 단연 '지속가능경영'이다. 생소한 이 개념이 국내 기업에 전파된 건 1999년 다우존스와 SAM이 만든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DJSI) 때문이다.

DJSI는 전 세계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재무성과뿐 아니라 윤리·환경·사회문제 등 비재무성과 등을 고려해 평가·발표한다. 국내 기업들이 여기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이유다.

 

지속가능경영센터는 2001년부터 2008년까지 전 세계 지속가능경영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지속가능경영 상위 20% 리더그룹의 시장 수익률은 상승하는 반면 하위 20%의 수익률은 하락했다. 리더그룹을 뒤따르는 중간그룹의 수익률도 상승그룹보다는 낮지만 상승세를 보인다. 일명 '알파 제너레이션(alpha generation)'이다.

김 센터장은 "분석결과를 통해 기업들이 다른 기업들보다 지속가능경영을 못 하면 망한다. (지속가능경영을 하는 기업을) 흉내만내도 죽지는 않는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의 생존,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보기]


 


   DJSI  에 대해서 잠깐 살펴보면

 

1. DJSI( 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DJSI는 미국 다우존스 인덱스와 스위스 샘에 의해 1999년 시작된 지속가능경영지수로 기업을 단순히 재무적 정보로 파악하는데 그치지 않고 경제적, 환경적, 사회적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공신력있는 지속가능경영 표준 중 하나이다 

 

2. DJSI의 분류 (혹은 등급)

 

 1)  DJSI world  

   전 세계 시가총액 상위  2500개의 글로벌  기업을 평가하여 이중 상위 10%로 구성된다

     

   국내기업현황 : 

   롯데쇼핑 .삼성전자, 삼성전기, 삼성SDI, posco, sk텔레콤등 국내 기업중 단 6개의 기업만이 DJSI world에 편입되어 있다.

 

 2)  DJSI Asia -Pacific

   아시아와 태평양지역의 주요 600개 그룹을 대상으로 평가하여 이중 상위 20%에 해당하는 기업들로 구성된다

 

   국내기업현황 :

    DJSI world에 해당하는 기업 + KT, 신한금융지주, 현대제철, 아모레퍼시픽, KB금융지주, LG화학, sk에너지 13개 기업

 

 3)  DJSI Korea

   2009 10월 처음 발표된 DJSI KOREA는 국가별 DJSI로는 최초다. 국내 시가총액 상위 200대 기업으로, 평가 결과가 기준(상위 30%·DJSI월드대비 50%)을 통과한 기업으로 구성된다. 2009년 기준 국내 41개 기업이 DJSI코리아 지수에 편입됐고 이중  상위 20개 기업은 'DJSI KOREA  TOP20' 으로 나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