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안산 춘천 성남 택시 분실물 신고, 택시에 놓고 내린 휴대폰 지갑 가방 옷 찾는 방법

반응형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안산 춘천 성남 택시 분실물 신고, 택시에 놓고 내린 휴대폰 지갑 가방 옷 찾는 방법

 

살면서 택시를 타고 내리면서.. 소지품 하나 분실 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요.

특히나 바쁜 일이거나, 회의가 잡혀져 있거나, 신경 쓰이는 일이 있을 경우에는

물건 하나씩은 빠트리죠.

 

아마도 휴대폰(핸드폰)이 가장 많지 않을까요.

 

예상대로 휴대폰(스마트폰)이 가장 많고, 그다음이 지갑, 가방, 옷, 쇼핑백, 그리고 .. 간혹.. 시계도 있고,

비올때는 우산도 많이 두고 내리는걸로 나오네요. 특히나 손지갑..

그리고 쇼핑하고 새로산 물건들도 간혹 두고 내리는 사람들이 있네요.. 정말 가슴 아프죠.

 

열심히 돈을 모아서 힘들게 가지고 싶은 물건을 샀는데.. 택시에 놓고 내리면

생일이나.. 축하할 일이 있어 거금을 주고 선물을 샀는데 택시에 놓고 내리면..

 

정말이지  내 정신은 안드로메다로 가 있게돼죠..

 

 

 

 

다른 물품이라면 가지고 있는 휴대폰으로 바로 이래저래. 알아보고 연락을 취할텐데

휴대폰을 택시에 놓고 내리면 정말 멘붕이죠. ~~~

정신이 하얗게 돼죠..

 

그래서 휴대폰을 분실을 대비해서.. 백업을 해두고.. 주소록/전화번호도 백업을 주기적으로 해야 합니다.

휴대폰은 새로 사면 돼지만 무엇보다 아쉽고 속상한게.전화번호 입니다.

예전에야 전화번호를 외우는 사람이 있었다지만, 지금은 전화번호 외우는 사람이 …..

그렇다고 수첩에 전화번호를 적어놓고 다니지도 않구요..

그래서 .. 가장 속상한게 전화번호죠.. 또 하나 더 있죠.

사진들.. 사진들은…. 정말.. 정말. 속상합니다.

 

그럼 시작해볼까요..

 

택시에서 물건을 놓고 내렸을 때.. 찾는 방법

가장 중요한건 영수증을 받는게 중요합니다.

영수증에는 차량번호 / 법인택시회사의 전화번호 주소가 나와 있고

개인택시일경우에도 택시기사 이름과 개인 전화번가 나와 있기 때문입니다.

 

카드 결제를 했을 경우

택시 요금 고객센터 1644-1188  또는 080 214-2992 로 연락을 합니다.

전화를 해서 안내순서인 카드정보를 입력하게되면 택시 기사님의

차량번호와 연락처를 알 수 있습니다.

 

T머니로 결제했을 경우

T 머니 고객센터 : 080-214-2992 로 전화를 하면 됩니다.

 

만약 현금을 지불하고 차량번호를 다행이 알고 있다면

120 다산 콜센터로 전화를 하면 됩니다.

 

만약 아무것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이제부터는 노가다(?) 를 해야 합니다.

 

첫번째는 아래 각지역별 택시 분실물 관련 연락처에 연락을 해서 분실물 신고를 하고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분실물 등록을 해서 기다려야 합니다.

 

두번째는 서울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중교통 통합 분실센터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대중교통 통합분실센터 (서울시 운영) / http:/www.seoul.go.kr/v2007/find.html

 

세번째는 경찰청 분실물 종합 센터에 신고를 해야 합니다.

경찰청 유실물종합센터 / http:/www.lost112.go.kr

 

이렇게 각각에 신고를 하고 기다려야 하겠죠

속은 타들어 가겠지만 현재로서는 방법이 없기 때문입니다.

 

요즘에는 심심치 않게 택시기사님들이 분실물을 찾아주는

사례들이 많이 있어서 훈훈한 뉴스를 많이 접하고 있으니 하늘이 도운다면 다시 나에게로 오겠죠.

 

 

 

 

 

 

아래는 각 지역별로 택시 분실물 신고센터 입니다 .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 안산, 춘천, 성남에서 택시를 탓다가

놓고 내린 유실물 또는 분실물을 확인할 수 있는데 지역별로 조합이 틀립니다.

 

대부분이 전화가 있기에 전화를 하고.. 그리고 웹페이지에 들어가서 신고도 해야 합니다.

 

서울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서울택시조합 02-2033-9200  / http://www.stj.or.kr
개인택시 : 서울개인택시조합 02-2084-6300 / http://www.spta.or.kr

서울시청 다산 콜센터 120

 

부산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부산택시조합 051-462-4651 / http://www.bstaxi.co.kr

개인택시 : 부산개인택시조합 051-500-8500  / http://www.bgtj.or.kr

 

대구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대구택시조합 053-765-4111 / http://www.dgt.or.kr/main

개인택시 : 대구개인택시조합 053-765-8500 / http://www.dptaxi.or.kr/

 

인천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인천택시조합 032-466-5101 / http://www.itaxi.or.kr/

개인택시 :

 

광주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광주택시조합 062-676-8031 / http://www.kjtaxi.or.kr

개인택시 : 광주개인택시조합 062-570-6800 / http://www.gjodtaxi.or.kr/

 

대전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대전택시조합 042-527-1241 http://www.djtaxi.com

개인택시 : 대전개인택시조합 042-583-6460 / http://www.djtaxi.co.kr

 

울산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울산택시조합 052-274-9998

개인택시  : 울산개인택시조합 052-211-1830

 

경기도 지역 택시 분실물 센터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경기택시조합 031-255-7881

개인택시  : 경기개인택시조합 031-255-5001

 

강원도 택시 분실물 센터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강원택시조합 033-253-4244

개인택시  : 강원개인택시조합 033-252-6339 / http://gwgtaxi.co.kr/

 

충북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충북택시조합 043-252-5701

개인택시  : 충북개인택시조합 043-259-8483 / http://www.cbtaxi.co.kr/

 

충남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충남택시조합 041-853-4841

개인택시  : 충남개인택시조합 041-331-1611 / http://www.cntaxi.co.kr

 

전북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전북택시조합 063-254-1443 / http://www.jbtaxi.co.kr/

개인택시 : 전북개인택시조합 063-212-3994

 

전남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또는 법인택시 : 전남택시조합 062-673-2922 / http://cafe.daum.net/taxitaxi

개인택시 : 전남개인택시조합 061-800-8010

 

경북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 택시 및 법인택시 : 경북택시조합 053-742-6528

개인택시 : 경북개인택시조합 053-756-3357 / http://www.kbgaeintaxi.or.kr/

 

경남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및 법인택시  : 경남택시조합 055-288-3311

개인택시  : 경남개인택시조합 055-274-0626

 

제주 지역 분실물 신고

일반택시 및 법인택시 : 제주택시조합 064-722-0274

개인택시  : 제주개인택시조합 064-744-2793

 

안산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시청 홈페이지 : http:// www.iansan.net / 481-2962

 

춘천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 263-2539 / www.cstaxi.kr

 

성남 지역 택시 분실물 신고 : http://www.seongnam.go.kr

 

한가지 알아두셔야 할 Tip

택시가사 물건을 찾아 주는 대신. 보상금을 요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부분은 법상으로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

금액의 5% - 20% 사이 입니다.

만약 스마트폰(휴대폰) 가격이 100만원이라면 5만원에서 20만원사이에서는

보상금을 지급해야 하는 것입니다. 물론 서로 합의를 하면 가장 좋겠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