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연성공율, 금연 성공 사례
매년 금연을 하겠다고 하는데.. 정말 힘든게 금연입니다.
특히나 직장인들의 경우 회식을 하게되면 술을 마시게 되는데,
술을 마시게 되면 특히 담배가 땡기게 됩니다.
알코올은 뇌의 이성적인 사고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데,
술을 먹기전까지 힘들게 금연을 해왔지만 술을 마시면서 나도 모르게 담배를 피게되면서
금연을 포기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금연에 성공한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금연 초기에는
술을 마시는 자리는 의식적으로 피해야 한다고 합니다.
금연을 하려는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사항은
금연 의지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야 하는데,
금연 시작하기 전에 자신의 계획을 직장동료나 가족에게 알려서
담배의 유혹을 뿌리치기 어려울 때에 가까운 사람들의 배려와 격려는
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무엇보다 금연을 하는 동안 생기게 될 상황에 대비해서 계획을 세우거나
라이터나 재털이 담배들을 버리는 것도 금연 의지를 꺽이지 않는데 도움이 됩니다.
흡연자의 90% 이상이 매년 담배를 끊기 위해서 고민을 하고
상당수의 흡연자들이 금연을 시도하지만
30일이상 금연을 하는 사람은 전체의 6%에 불과합니다.
금연을 할 때 병원의 도움을 받게 되면 성공 가능성은 훨씬 높아지게 되는데
혼자의 힘으로 금연을 1년 이상 유지할 수 있는 확률은 3% - 5%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면서 금연을 하게될 경우는 25%
금연을 할 때 금연 치료제를 사용하게 되면 40% 가까이 늘어나게 됩니다.
금연을 하면서 행동치료와 약, 그리고 상담치료등을 90일이상 꾸준하게 받게되면
금연에 70% 이상 성공할 수 있다고 합니다.
금연에 성공하게 되면 건강을 관리하고 다시 담배를 피지 않는게 중요한데
금연 후 90일정도 지나게 되면 몸무게가 평균적으로 3-5kg이 느는데,
이럴때에는 열량이 높은 음식을 피하고 적당한 운동을 하는게 중요합니다.
금연 시작 준비
금연 시작일의 경우 회의나 회식 중요한 프리젠테이션 같은 일정이 있는 날은 피하기
기념일이나 휴일, 스트레스가 없거나 긴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시작하기
미리미리 금연치료제를 준비해놓기
금단증상을 줄이기 위해서 패치나 껌, 사탕 형태로 니코틴 대체음식 준비하기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균수면시간, 신생아, 갓난아이, 10대,20대 평균잠자는 시간 (0) | 2013.03.11 |
---|---|
우리나라 가장오래된기업, 한국에서 기업평균수명이 가장 긴 기업은 (0) | 2013.03.09 |
담뱃값인상, 담뱃값인상율 알아보면 (0) | 2013.03.06 |
2013년 설연휴기간, 2013년도 설 상여금 (0) | 2013.01.03 |
2013년 대학등록금인상률 및 반값등록금대학 자격 (0) | 2013.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