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할랄 인증기관, 할랄(Halal) 인증비용(컨설팅비용,인증심사비용) 지원

반응형

할랄 인증기관, 할랄(Halal) 인증비용(컨설팅비용,인증심사비용) 지원

 

할랄의 뜻은 신이 허락한 것이라는 아랍어 입니다.

할랄을 영어로 하면 Halal .

 

이슬람 율법에 의해서 무슬림이 먹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이 되는 일종의 일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육류중에서는 한번에 정맥을 끊는 방식으로 도축을 하는 양//닭고기

채소나 과일 그리고 곡류와 해산물은 자유롭게 이용.

 

할랄의 반대말로 하람도 있는데, 신이 금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표적인게 돼지고기와 알코올 입니다.

 

이러한 규제들로 인해서 할랄 인증기관을 통해서 인증을 받고 이슬람 국가들에게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 전세계 무슬림 인구 >>

 

 

 

할랄 인증 비용으로는  

컨설팅 비용 : 1 500만원 - 2천만원

인증 심사 비용 : 150만원 - 200만원이 드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 할랄 인증 비용으로 컨설팅 비용 + 인증 심사비용 포함해서 2천만원에서 2천 5백만원이 들고 있는데

       적지 않은 금액이죠.

 

할랄 인증을 위해서는 상당한 비용이 드는데

이슬람 국가들에게 수출하기 위해서는 인증 기관의 절차를 거쳐야 하는데ㅡ

전체 이슬람 국가 통일 기준은 없기 때문입니다.

 

아래에 설명을 하겠지만 인증기관이 말레이지아와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 인증기관을 통해서

인증을 받는데. 만약 말레이시아 인증을 받게 되면 아랍에미리트 인증 받기가 수월하긴 하지만 모든

이슬람 국가들에게서 보장되지는 않습니다.

 

 

 

 

전세계 할랄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돈으로 2,268 조원

2021년까지 대략 3,600조원 규모로 성장한다고 합니다.

현재 2010년 기준으로 16억명의 무슬림인구

2020년에는 19억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이되며

2050년에는 전세계 1/3이 무슬림이 될 것으로 예측을 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네슬레나 맥도날드의 경우 이미 할랄 시장에 먼저 진출해서 기업 활동을 하고 있는데

네슬레의 경우 세계 150개 공장에서 300여종의 할랄인증 제품을 생산해서 판매하고 있으며

2015년 네슬레의 할랄 인증 제품 매출의 경우 7조원에 육박했다고 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4 133개 기업에서 404개 품목이 할랄 인증을 받았으며

2015 167개 기업에서 501개 품목이 할랄 인증을 받았으며

2016년 말 기준으로 224개 기업에서 743개의 품목이 할랄 인증을 받았습니다.

 

할랄 인증을 받았다고 해서 이슬람 관련 품목을 수출해서 성공하는 것은 아니겠지만 할랄 인증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면 이슬람 수출 자체를 시도하기가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무슬림중 90% 이상이 제품을 구매할 때 할랄 인증 마크를 확인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물건을 살 때.. 유통기한을 보듯이 무슬림들은 할랄 인증마크를 가장 먼저 확인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할랄 인증 마크가 필요한 것이죠.

 

 

<< 전세계 할랄 인증 마크 >>

 

할랄 인증 기관의 경우

전세계적으로 250여곳이 있으며,

이슬람 종교 단체에서 인증하는곳도 있지만 정부에서 직접 주는 곳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할랄 인증기관

말레이시아 자킴 ( Jakim ) - http://www.halal.gov.my/v4/index.php/en/

1990년대부터 할랄 인증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가장 권위 있는 인증기관이기도 합니다.

 

 

 

 

인도네시아 무이 (Mui ) - http://www.halalmui.org/

말레이시아의 자킴과 함께 인도네시아의 무이라는 할랄 인증기관이

양대 산맥이자 라이벌 인증기관으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아랍에미리이트(UAE) 에스마(ESMA)

싱가폴 무이스(MUIS )

 

동남아시아의 경우 자킴과 무이 할랄 인증이 통용이 됩니다.

무이나 무이스의 경우 해외에 인증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마케팅 사무소를 통해서 인증 업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할랄 인증 기관의 경우

한국 이슬람교 중앙회 – KMF (http://www.koreaislam.org/)

   KMF는 자킴과 무이스와 교차 인증 협약을 맺고 있습니다.

한국 할랄 인증원의 경우 2016 6월 이슬람 국가 표준 기준 도량기구(SMIIC) 인증을 통해서 만들어 졌습니다.

 

그리고 한국 할랄 산업 연구원의 경우는 할랄 인증 및 자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http://kihi.or.kr/

 

 

 

 

 

 

** 반드시 확인 사항 **

KMF의 경우 인도네시아 뮤이나 말레이시아의 자킴보다 할랄 인증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을 수가  있습니다.

 

그렇지만 KMF가 말레이시아의 자킴과는 교차 인증 기관이므로 동등한 효력이 있을수 있겠지만,

인도네시아의 무이와는 교차 인증기관이 아니기에 수출하고 싶은 나라에서 요구하는

할랄 인증을 요구할 수 있기에 반드시 수출하려는 나라에서 필요로하는 수요로 하는 인증을 확인하고

인증을 준비해야 합니다.

 

할랄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짦게는 6개월 길게는 2년까지도 가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또한 비용이 만만치 않게 들기 때문에 이러한 지원 비용을 해주는 곳이 있는지 먼저 확인하고

지원받을 수 있으면 인증비용 지원사업에 신청을 해서 비용 지원을 받는것도 좋습니다.

 

이전에 한국 농수산 식품 유통공사 또는 중소기업청 해외 규격 인증 획득 지원 사업의 일원으로

할랄 인증 비용을 지원 이력이 있습니다.

반응형